자율야구의 힘
자율은 양날의 검과 같다.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하기에 줏대가 없거나 동기부여를 찾지 못하면 나태해지기 딱 좋다. 반대로 스스로 잘하면 채찍질과 잔소리로 이끄는 것보다 더 좋은 성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번 호에서 소개할 단국대학교 야구부는 자율적인 문화가 긍정적으로 정착한 팀이 아닐까 싶다. 40여 년의 역사로 비교적 길지 않은 연혁에도 수많은 프로 선수를 배출해낸 힘, 노력이 기반이 된 ‘자율야구’로 올해 더 높은 곳을 바라보는 단국대 ‘곰 군단’이다.
에디터 김일우 사진 김유진 감독 제공,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KT 위즈, 한화 이글스
#40여년 역사의 신흥강자
1981년에 창단한 단국대 야구부는 여러 슈퍼스타를 키워냈다. 여타 명문 학교들과 비교하면 역사가 길지 않지만, 전임 김경호 감독과 김유진 코치(현 단국대 감독)가 20년 가까이 지도하며 ‘자율야구’라는 본인들만의 스타일이 완전히 정착했다는 평을 받는다. 이와 함께 값진 결과물을 쏟아내고 있다. 매년 꾸준히 좋은 선수를 양성해 역대 100명 이상이나 프로에 진출시키는 기염을 토했고, 최근에는 대회 성적 또한 눈에 띄게 좋아졌다.
2017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우승 시 염색허용’이라는 파격 제안으로 선수들의 동기부여를 끌어내 상무 피닉스 야구단 등 강자들을 차례로 꺾고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또한 2020년엔 유독 인연이 없었던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건국대학교를 상대로 창단 40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 배경엔 자율적인 훈련 분위기 속에 선수들이 자발적으로 똘똘 뭉치게 한 자율야구의 힘이 있었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며 대학야구 신흥강자 반열에 우뚝 서고 있는 이들은 올해 새로운 변화를 맞았다. 졸업 후 짧은 선수 생활을 마치고 모교로 돌아와 코치로 20년을 지낸 ‘순혈 단국인’ 김유진 감독이 올해부터 팀을 이끌게 된 것이다. 제자들에게 진심으로 대하는 리더십으로 유명하며, 전임 감독과 유사하게 기술보다는 멘탈을 우선하는 지도 철학을 지닌 김 감독. 단국대가 그와 함께 또 한 번 도약할 수 있을지 지켜보자.
#프로 배출의 산실
단국대 야구부는 꾸준히 트로피에 근접해온 팀은 아니지만, 매년 신인드래프트에서 계속해서 프로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두산 베어스의 7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을 이끈 명장 김태형 감독, 1994년 LG 트윈스 ‘신바람 야구’의 주역 서용빈 KT 위즈 2군 감독, 트윈스의 영구결번 이병규 현 LG 코치 등이 단국대 졸업 후 KBO리그에서 굵직한 족적을 쌓았다. 그들의 뒤를 이어 모교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는 현역 선수들을 소개하려 한다.